본문 바로가기

About 꿀팁/[꿀팁정보통]

[꿀팁] K-패스 신청 방법, 혜택, 효율적인 카드 선택까지 !!

 

 

 

 

기존 알뜰교통카드 서비스가 종료되고,

2024년 5월 1일부터 19세 이상 전국민이 사용 가능한 K-패스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!!!

쉽게 말해 알뜰교통카드 서비스가 K-패스로 바뀌었다고 생각하시면 되고,

기존 알뜰교통카드 서비스를 이용하셨던 분들은 K-패스로 전환하시면 바로 사용가능합니다!! 그리고 새로운 K-패스 카드를 발급받지 않으셔도 바로 이용가능합니다. 또 출발, 도착 누르는게 없어져서 좀 더 편해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^^

 

 

K-패스란 무엇이냐?

 

 

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(시내, 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 대상)을 이용할 경우,

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.

(지하철에는 신분당선도 가능합니다. 그리고 연속된 환승은 1회로 생각합니다)

 

 

K-패스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전국 대부분의 지하철, 시내버스, 광역버스 등을 이용하는 금액의 일정부분,

 

19세~34세 청년은 34% 환급

일반은 20% 환급

저소득층은 53% 환급

(최대 60회까지 환급 지원)

 

을 다음달에 환급받는다~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 

K-패스 가능 지역

 

 

 

K-패스가 가능한 지역은 위 그림처럼 나와있고, 표시되지 않은 그 외 지역들은 K-패스 사용이 불가합니다.

자신의 지역을 꼭 확인하시고 K-패스 신청을 하시길 바랍니다.

 

K-패스 카드 안내

 

 

K-패스 카드는 이렇게 구성되어져 있고, 이 중에서 카드를 먼저 발급 받으셔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혜택을 비교해보시고 자신에 맞는 카드로 선택하시면 되겠지만,

K-패스라는 혜택에 있기에 대부분 카드들의 혜택이 좋지 않습니다.

그러니 신용카드와 같이 연회비가 있는 카드는 굳이 발급받을 필요가 없습니다.

차라리 연회비가 없는 체크카드로 발급 받는게 더 좋은 선택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
그리고 K-패스 카드를 발급받게 되면 이 카드는 반드시 교통카드 용도로만 카드를 사용하셔야합니다!

일반 카드사용에서는 혜택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일반 카드사용은 소지하고 계신 다른 카드를 쓰시고,

교통카드 사용으로만 발급받은 K-패스 카드를 사용하시는것이 더 효율적인 소비라고 생각합니다!!

 

 

 

 

K-패스 가입절차

 

 

1. 홈페이지 또는 앱으로 회원가입 화면으로 들어갑니다.

 

2.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 [유효성 체크]를 클릭합니다

 

3. 필수약관 모두 동의시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.

 

4. 주민등록번호(외국인등록번호) 입력 후 주소지 검증을 실시합니다.

 

5.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하면 완료됩니다!

 

 

 

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K-패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
대중교통 사용이 월 15회 이상이다 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K-패스를 발급받아 훨씬 더 효율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세요~~